항해99/지원 주차

팀 스파르타 세션 메모

숲별 2022. 12. 22. 01:35
728x90

개발을 사랑하는 마음은 회사가 제공해들리 수 없는 것.
그래서 아래 세 가지를 여쭤봅니다.

나는 타고난 프로그래머가 아니었지만, 올바른 습관을 꾸준히 실천함으로써 탁월함에 다가갈 수 있었다.

올바른 습관: 좋은 방법을 알고->좋은 방법을 실천하고->돌아본다.->다시 방법을 알고

매주 백/프론트 모두 스터디를 진행하고, 
테스트 코드로 방어하고, 코드리뷰로 서로를 보완합니다.

post mortem.
트러블슈팅과 장애 대응 로그를 남기고
주간 미팅 때 리뷰함으로써 모두의 노하우를 축적합니다.

두 번 실수하지 않게끔해서 팀 전체가 성장하게

개발을 좋아하고 + 올바른 습관으로 + 몰입해서 개발해야한다.

몰입해서 개발하려면, 1. 회사가 잘 되어야 하고, 2 거기서 주요한 역할을 맡아야 합니다.

잘 되는 회사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회사, 그래서 만들 것도 많은데요,
누구나 "임팩트 있는 개발"을 할 수 있습니다.
100명 중에 1명 vs 16명 중의 1명

내가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서 부딪히고 깨지는 경험

504 gateway time-out nginx

그러다 삐끗하면 어떻하죠?

1. 실수하지 않으면 전진할 수 없다.
2. 부검없는 실수는 좀비가 되어 돌아온다.

그러니 인정하고, 투명하게 공개하고, 더 나아지자.

(X) 사고를 치면 혼나는 팀.
(O) 사고에서 배우는 팀.

내가 실수를 하더라도 비난하지 않고 구조적 문제임을 알고 도와준다.

그렇지 않으면 실수가 좀비가 되어 돌아옴.

인정하고 투명하게 공지하고 더 나아지자.

(개발을 좋아하고+올바른 습관으로+몰입해서 개발한다.)*(좋은 동료)

이번엔 어떤 일을 하는지 이야기해보죠.
1.팀스파르타가 풀어온 문제
자기계발, 커리어전환, 창업의 무제들을 풀어왔어요.
1)이력서의 빛나는 한 줄 => 스파르타 코딩클럽(왕초보 46만명 완주율 85%)
2)선생님, 개발자가 되고 싶어요.=>항해99 (비전공자 77.4%, 취업률 96.86%)
3)대항해시대에 가만 있을 수 없지!(즉 칼로 곳간을 부수는 것이 바로 창업의 '창'입니다.=>{창} (정예 후보자 300명, 직접 투자)

현재 기술 스택은 이러합니다.
과거)오프라인 교육시절엔 큰 기능이 필요하지 않았어요
aws cloud, flask, mongoDB 대표도 코딩하는 회사!

온라인 진출 후 아주 빠르게 고객이 늘면

아래와 같은 필요성을 맞닥뜨리며
1.재사용가능한 프로트엔드 구조
2. 빈번한기능 개선 및 배포 
=>리액트, 도커

서버 증설에 따라 배포와 로그가 문제가 되었어요.
1.로그를 통합해서 볼 수 있어야 함.
2. 어플리케이션 퍼포먼스를 시각화해서 볼 수 있어야 함.
3. 버그 재현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원인을 알 수 있어야 함.
=>BLEK(무거워서->Grafana, cloudwatch?), New Relic, sentry

그 다음에는 DB가 문제였다.
1.Request volume 들쭉날쭉, 그러나 패턴 있다.->프로비저닝, 오토스케일링
2.DB.. 절대 죽으면 안되는데..->고가용성, PSS
3. hot, warm, cold 분포를 알면 최적화 할 수 있는데! -> 퍼포먼스 모니터링
=>Cloud로 MongoDB 이전!

아키텍쳐 구성
통제하지 않으면 시간에 따른 의존성이 지수적으로 증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이 뭐냐면 시간에 맞서 싸운다.
유지보수가 어렵다거나 

시간에 따라서 복잡도를 통제하는 게 어려워짐.

의존관계를 나타낸 맵=>복잡도 지수로 증가

조합. nCr 하나만 추가해도

시간에 따른 복잡도를 통제하는 게 우리가 할 일


트리형으로 바꾸면 복잡도가 트리의 높이로 log
그래프를 트리로 바꾸기, 코드 아키텍쳐 권장사항 잘 따르는지 검증.

요점만 얘기하면 굉장히 복잡해진 아키텍쳐를 단순하게 바꿀 방법을 찾아냄.

그래서 이런 스택이 나오게 된것.

임진왜란때 피해가 큰 이유.
총이 없어서?
총알, 화약이 없어서

패러다임 시프트
전쟁의 판도가 바뀌는 순간

역사의 변곡점.
전쟁의 판도를 바꾸는 순간

이 시대의 화약은?

software is eating up the world

SW 인재, 개발을 아는 사람.

이 시대의 화약이다.


팀스파르타가 한일 
오케이 화약은 확보됐고

팀 스파르타가 할 일
전쟁의 판도를 바꾼다.

스파르타 코딩클럽을 통해 대화를 아는 인재와 함께
스파르타코딩클럽->캐주얼 게임 스튜디오같은 게임을 배출하는 파이프라인을 만든다.

항해99->글로벌 외주/채용 플랫폼

{창}->마이크로엣싯 생태계

채용 플랫폼

개발팀의 준비
프론트엔드/백엔드 기술 교체
Architecture 전환(layered to hexagonal)
Event-driven 전환(layered to hexagonal)
Event-driven Microservices
앱 제작 역량 내재화
글로벌 라이제이션(i18n, CDN,...)
빡센 환경에서도 낮은 레이턴시
목적에 맞는 다중 DB
데이터 수집, 정제, 적재, 분석 과정의 세분화 및 고도화

개발을 사랑하는 마음만 가지고 와주신다면 온보딩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어요.

3. 채용 프로세스 채용절차
서류지원 전화인터뷰 1차 면접 2차 면접

<확인하고자 하는 것>
엔지니어의 핵심 역량.
엔지니어는 오늘 모르는 문제를 내일은 풀어야 한다.

해법을 생각해내기, 그것도 코드로 만들기.
정오답형 대신 사고력, 구현력

기술인터뷰는 질문 두 개로 구성.(사고력, 구현력)
두 개면 한시간 뚝딱..ㅎ

온보딩 : 새로온 사람이 적응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

어려운 과제를 스스로 해냄으로써 자신감 획득하기.

자신감드리는 걸 중점.

TDD와 CICD

자료와 멘토링 제공.
화살표의 합이 최대가 되게하는 게 매니저
회사가 조금 더 조절을 하는 것이 개인이 
회사가 가급적 많이 움직인다.

직접 이 일을 하실 분이 더 행복할 수 있게.

직무배치 전에
팀 배치 리드5, 주니어 11의 황금비.

그 외의 장점.

이모든 과정을 주도할 수 있다.

(리드의 멘토 아래 )

기술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곳.

"유급" 휴가 무제한 + 여름/겨울방학 1주일.

누구나 큰일 낼 수 있어
코딩교육, 게임스튜디오, 채용플랫폼. 글로벌진출, 외주

교육운영매니저 단기로 팀원 

함께 일하고 싶은 매력적인 사람으로 성장합니다.
요약 : 개발자 취업 목표를 더 높게 + 스타트업에서 문제를 푸는 방식 경험

개발 공부를 꾸준히 이어갑니다.
-8주간, 일과 병행하며 근무 후에 TA들과 함께 맞춤형 멘토링 지원
-프론트라면 포트폴리오에 집중, 백엔드라면 코딩테스트에 집중

경력공백을 PM으로
-스타트업의 문화 경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도적으로 의사결정하고 실행한 경험
-수강생/멘토/기술매니저를 상대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하는 법 습득

누군가가 꿈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도우면서 얻는 보람

두마리 토끼를 한번에

오전9시~오후3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도적인 의사결정
-수강생/기술매니저를 상대하며,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하는 법 습득

오후 3시 이후
-TA끼리, 스택별 소수정예 1:2 맞춤형 멘토링 진행
-6주 멘토링 +2주 이력서 코칭(리액트는 포트폴리오 추가에 집중, 백엔드는 코딩테스트 준비에 집중)

수료 이후에 루즈해질 것 같다.

왜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이 되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개발자도 PM도 결국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자신이 다니는 회사가 어떤 지향점을 가지고 있고, 어떤 곳에서 수익을 얻으며, 어떻게 지탱되고 있는지를 모른다면 장기적으로 그 속에서 성장할 수 없다."

스타트업의 문화를 경험
항해팀 내부 주간미팅(온라인)
투명한 정보공유와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끊임없는 회고와 피드백
어떻게 하면 +10이 아니라 *10를 할까?

매달 기수 담당 매니저와의 1 on 1 셀프 회고, 앞으로 성장을 함께 고민 도서를 큐레이션으로 해 보내드리기도

월간 OKR(목표지표)를 항해 매니저와 함께 달리기
-이번주 해결하려는 문제를 정의
-빠른 실행과 개선(휴먼 터치에 특히 집중)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설을 세우고/실행하고/회고하기
잘했으면 -왜 잘됐나?-성공사례복제
못했으면-왜 못했나?-빠르게 실행

누군가를 돕거나, 공감대를 형성하고, 동기부여 시키면서 얻는 보람.

채용 상세
주요업무 : 데이터를 기반으로 항해99의 반을 관리하고, 특히 VOC(고객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수강경험을 개선합니다.
근무형태 : 재택근무(100% 온라인)
근무시간 : 평일 9 to 3 / 토요일 오전 1시간
급여 시급 1만원(월급 약 150만원)
혜택 : 근무 후 현직 개발자 멘토링 제공 (무료)
개인 프로젝트 진행으로 포트폴리오 보완
코딩테스트와 인성/ 기술 면접 준비

지원절차(TA)
1단계 : 서류 지원(지금 가지고 있는 개발자 이력서 + 지원동기 제출)
2단계 : 줌 인터뷰 (지원 동기, TA 역할로서의 fit, 공부 목표 확인 등)
구글 폼을 통해 지원(채용 설명회 직후 링크 공지)
2,3명 채용..?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 문제 해결능력을 갖춘 일잘러로 함께 성장할 수 있어요.


----------
자바 스프링은 사용하고 있지 않다.
unity

온라인 개발팀, 플랫폼 개발팀(항해, 창, 인텔리픽)
사내 부서 이동 가능은 하지만 부서장과의 협의, 대표와 인터뷰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