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맨(Postman)의 유용한 기능 토큰
Tests 탭에서 Response의 데이터를 전역변수에 저장해서 다른 Request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Request의 Tests탭에 아래와 같이 넣어주고
var jsonData = JSON.parse(responseBody)
pm.globals.set("Access_Token", jsonData.accessToken);
토큰 들어가는 자리에 {{Access_Token}} 넣어주기
Access_Token은 authenticate Request의 tests 탭에서 response를 파싱해서 토큰 정보를 담아놓았던 변수입니다. 이 변수를 다른 Request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좌측 environments 탭에 들어가보면 Globals 안에 Access_Token라는 변수명으로 토큰이 저장되는 걸 확인 할 수 있다.
4,5강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jwt/dashboard
[무료] Spring Boot JWT Tutorial - 인프런 | 강의
Spring Boot, Spring Security, JWT를 이용한 튜토리얼을 통해 인증과 인가에 대한 기초 지식을 쉽고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https://jjinbbangworld.tistory.com/23
postman 사용 시 token 값 자동 설정
api 테스트를 위해 postman 이용 시에 1. Get Token을 통해 access_token 값을 받아오고 2. 해당 token 값을 실제 api 호출에 authorization 정보로 이용하게 된다. 이런 경우 token이 expire 될 때 마다 새로운 token을
jjinbbangworld.tistory.com
+다른 프로젝트에서는 로그인 시 헤더로 토큰이 나오길래 추가
pm.globals.set("Access_Token", pm.response.headers.get("Access_Token"));
근데 일단 위에꺼는 여기저기 검색해서 짜깁기해 만드는데 성공하긴 했는데
검색해봤을 때 보통 헤더로 토큰을 안 보내는 듯? 다들 첫번째 방법으로 포스트맨 설정해서 환경변수로 사용했다.
아마 로그인시 토큰은 바디로 프론트측에 주는 게 일반적인 것 같다. 이것도 한 번 찾아봐야 할 듯.
'사소한 Tip과 개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 컨벤션 (0) | 2022.11.29 |
---|---|
패키지 명명규칙, 명명법 (0) | 2022.11.28 |
REST API - 생활코딩 +etc (0) | 2022.11.20 |
[+] NULL과의 싸움 (0) | 2022.11.18 |
Stack Overflow란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