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
API란 컴퓨터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방법( ex. 'HELLO WORLD'를 프린트하는 것)
REST API도 컴퓨터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 다만 내 컴퓨터가 아니라 남의 컴퓨터를 실행시킴.
인터넷과 웹을 통해 내 컴퓨터를 제어할 때 어떻게 하면 실행착오를 줄이고 더 좋은 API를 만들 수 있느냐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
특정 기술을 의미하는 게 아님.
HTTP를 통해서 기계들이 통신을 할 때, HTTP가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일종의 모범사례.
데이터들을 Resource라고 함.
Resource는 URL을 통해서 나타냄.
전체나 여러개를 나타내고 싶다면 URL에 복수를 사용하는 게 일반적. Collection
Collection은 Element로 이루어지고
Element는 id값으로 나타내준다. 이름으로 식별할 수 있다면 단수형으로 나타냄.
URL은 식별하는 이름일 뿐, 정보를 가공할 수 있어야 함.
가공방법은 많을 것 같지만 CRUD 4가지 뿐.(Creat, Read, Update, Delete)
이러한 방법을 REST API에서는 METHOD라고 함.
REST API는 웹을 통신규약인 HTTP를 이용하기 때문에 HTTP가 가지고 있는 METHOD를 이용.
HTTP에서 creat(생성)하는 METHOD는 post
read(읽기) - get
update(수정) - put(전체), patch(부분)
delete(삭제) - delete
<정리>
REST API란 HTTP프로토콜을 HTTP 프로토콜 답게 사용하자는 의미
resource는 URL
행위는 METHOD
결과는 응답코드로
HTTP가 원래 가지고 있는 의미를 잘 활용하자는 것.
생활코딩 - https://www.youtube.com/watch?v=PmY3dWcCxXI
----------------
상태표현(CRUD)을 주고 받는다.
사람이 인지하기 쉽게 상태를 표현한다. RESTful이란 인지하기 쉽게 만들었다는 의미.
RESTful 이전에는 SOAP를 사용했었다.
주고받는 규약 약속이 필요했는데 규약이 복잡하고 무겁고 상호작용하려면 양쪽에 추가해야했다.
따라서 이미 모든 곳에서 사용 중인 HTTP를 사용하는 RESTful 방식으로 가게 됨.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CBXIjJOHerU
URL적는 자세한 방법은
https://www.youtube.com/watch?v=4DxHX95Lq2U
영상 참고하면 좋을 듯.
----------
API란 키보드와 같아.
정보를 입력하고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수단
프로그램들이 서로 소통하는 방법
(인간이 아닌) 코드들끼리 서로 소통하기 위해 만들어진 게 API
서버와 소통할 수 있는 키보드들.
https://www.youtube.com/watch?v=iyFHfzCRHA8
'사소한 Tip과 개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키지 명명규칙, 명명법 (0) | 2022.11.28 |
---|---|
포스트맨(Postman)의 유용한 기능 토큰 전역변수로 저장 (0) | 2022.11.26 |
[+] NULL과의 싸움 (0) | 2022.11.18 |
Stack Overflow란 (0) | 2022.11.18 |
boilerplate ; 보일러 플레이트 (0) | 2022.11.13 |